가끔 보면 ‘안’이라고 적어야 할 자리에 ‘않’이라고 적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e.g.) ‘왜 않해?’ ‘않그래요’ 등등...
예시를 나타내는 영문 기호는 e.g.입니다.
저는 단 한 번도 '안' 과 '않' 을 오용해본 적이 없습니다. 사실 이것은 상식이라는 개념보다도 더 로우레벨에 위치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면 어른을 공경하고 예의 바르게 인사하는 것에 어떠한 의문이나 반감을 품지 않는 것처럼요. 사람이 사람으로서 살아가는데 당연한 것이라고요.
수관형사와 조사는 띄어 씁니다. 관형어와 의존 명사도 마찬가지로 띄어 씁니다. 신분, 지위 등을 나타낼 때에는 ‘로써’ 대신 ‘로서’를 사용합니다.
비슷한 예시로는 날짜를 세는 순우리말이 생각이 납니다. 하루 이틀 사흘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 열흘... 이를 모르는 사람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조차 해본 적이 없습니다. 하물며 이틀을 '2틀' 이라고 적는 사람이 있을거라고는 더더욱 생각해본 적이 없습니다. 괴담도 아니고 세상에 어떤 사람이 그러겠습니까? 못먹고 못살던, 문맹이 넘치던 과거라면 모를까, 21세기의 우리나라에 '설마 위와 같은 경우가 있을 수가 있을까요.'
라고, 단 한번도 듣도보도 못한 뜬소문이라 생각하며 '이게 뭔소리야? 말이 돼?' 라고 생각하며 살아왔는데. 현실은 상상을 초월하였습니다.
한국인이 자주 햇갈려 하는 어휘로서 앞서 서술한 '안'과 '않'의 구분이 있다고 합니다. 충격을 받았습니다. '세상에, 왜 그걸 그렇게 쓰는거지?' 저로서는 그걸 왜 구분을 못한다는거야 라고밖에 생각되지 않는. 납득할 수 없는 현상입니다. 헌데 그보다도 심한 경우로, 사흘이 3일째를 뜻하는지 모르고, 거기에 더해 '이틀'을 '2틀'이라고 적는 사람이 진짜로 있는것을 보고 더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사흘 나흘을 모르는건 백번 양보하여 그렇다쳐도, 순우리말인 '이틀' 이라는 단어 음절에 당최 왜 아라비아 숫자 2를 붙여 쓰는지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았습니다. 심지어 그보다도 놀라운 것은, 위의 사항에 대해 지적을 받은 사람들이 지적한 사람에게 화를 내는 모습이었습니다. '당신이 뭔데 나서느냐' '그거 좀 모를수도 있지 사는데 지장 있는것도 아닌데' 라며 욕설을 하고 불만을 표하는 이들을 보니 내가 지금 꿈을 꾸는가 싶을 정도로 의구심이 듭니다. 마치 트루먼쇼의 주인공이 된 것 같은 느낌입니다. 당연하다 생각하고 의심조차 하지 않던 기본상식을 부정하는 사람들을 보고, '아니 이런 경우가 진짜 있다고??' 라며 혼란과 놀라움을 느낍니다...
음절은 발화할 때 한 번에 소리낼 수 있는 단위를 의미합니다.
제가 세상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뒤처지는 것일까요? 틀린 쪽은 저일까요 아니면 현실일까요? 참 많은 생각이 드는 요즘입니다...
비문이 너무 많아서 글을 못 읽겠네요. 제가 직접 수정해 드렸습니다.